우리는 반드시 투자를 해야 합니다. 평생 일하면서 현금흐름을 만들면 좋겠지만 우리는 현재 100세 시대를 넘어 120세 시대를 눈 앞에 두고 있습니다. 은퇴를 늦춰서 60세가 아닌 70세, 혹은 80세에 은퇴를 한다고 하더라도 적어도 20~30년 이상을 노동 소득없이 생존해야 합니다. 투자는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투자의 목적
우리는 왜 투자를 해야 할까요?
여러분은 주식에서부터 가상화폐, 부동산에 이르기까지 각종 자산들에 왜 투자를 해야 한다고 생각하시나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가장 중요한 단 한 가지는 바로 생존을 위해서입니다.
1. 평균 수명의 연장(100세 시대)
의학기술의 발전으로 평균 100세 시대가 바로 눈앞으로 다가왔습니다. 불과 20년 전만 하더라도 60~65세까지 정년을 다 채우고 퇴직을 하면 넉넉히 연금을 타거나 2명 이상의 자식의 부양을 기대할 수 있었고 남은 기대 여명인 20년가량만 흘려보내면 되었지만 2020년 대에는 60세에 퇴직하더라도 40년을 근로소득 없이 살아야 합니다. 자식도 1~2명으로 줄었을 뿐 아니라 부양을 기대하기가 어려운 상황이 되었습니다. 내 자산이 없다면 60세 이후로도 추가로 근로를 열심히 해야 생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2. 일자리 감소(플랫폼 기업과 AI의 등장)
세상이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넘어가는 속도가 점점 더 빨라지고 있습니다. 대형 플랫폼 기업과 AI 등으로 인해 많은 일자리들이 빠르게 사라지고 있습니다. 요새는 카페나 영화관 어디에서든 키오스크가 사람을 대신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기술의 발전은 단순 노동직 일자리를 감소시킬 뿐 아니라 전문직의 영역도 넘보고 있는 상황입니다. 일자리는 점점 감소하고 기존 인력도 기계로 대체되고 있습니다. 대기업에서 정년까지 일하는 것도 거의 불가능한 일이 돼버리고 말았습니다.
3. 실질금리 마이너스, 국민 연금 고갈
실질 금리는 마이너스인 시대로 접어든 지 오래입니다. 현금을 보유하거나 예금뿐이라면 해가 지날수록 가치가 감소할 것입니다. 지금 30~40대인 분들이 국민연금을 받을 수 있을까요? XX 년에 고갈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안타깝게도 우리나라의 노인 빈곤율과 자살률은 세계 1위입니다. 그것도 2위와 격차가 심하게 나는 1위 입니다. 노후를 에 필요한 금액을 계산하고 대비하지 않고 금융 공부를 게을리했기 때문입니다.
60세 퇴직 이후에 가난하지 않고 행복하게 살려면 반드시 현금흐름이 있어야 합니다. 현금 흐름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은 3가지뿐입니다.
1. 새 직장 2. 사업 소득 3. 주식이나 부동산 등의 투자 소득
미래에는 어떤 일이든 일어날 수 있는데,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거나 몸이 아파서 일을 못할 수 있습니다. 사업에서 성공할 확률은 매우 낮습니다. 때문에 생존을 위해서는 반드시 투자를 배우고 투자를 할 줄 알아야 합니다.
투자 시기
투자는 언제 시작하는 것이 좋을까?
은퇴를 하고 나서 투자를 시작하면 물론 가능하지만 너무 늦습니다. 시행착오를 겪으며 실패를 경험하고 시장에 수업료를 지불하기에는 회복할 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투자는 지금 당장 시작해야 합니다. 어리면 어릴수록 좋다고 생각합니다. 복리의 마법이 지속되는 한 시간이 최대의 무기이기 때문입니다.
물론 이론적으로 보면 2008년 리먼사태 , 2020년 코로나 시국에 주식 시장이 폭락했을 때 타이밍 좋게 투자를 시작하며 초반부터 큰 이득을 올릴 수 있겠지만 폭락의 시기는 전문가들도 맞출 수가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일단 빠른 시일 내에 손실 확률이 낮은 방법으로 적은 비용으로(몰빵 하지 마시고!!!) 투자를 시작하고 그다음에 한 단계씩 업그레이드해나가면 됩니다.
얼마를 모아야 할까?
노후를 위해 현재의 소비는 극도로 줄이고 투자해서 미래를 대비하자는 게 아닙니다. 생존을 위해 필요한 비용은 사전에 계산할 수 있습니다. 낙원 계산기라는 훌륭한 사이트가 있습니다. 초기 자본, 매년 저축 금액, 은퇴까지 남은 기간, 현재 내 실력으로 가능한 현실적인 수익률 등을 입력하면 은퇴 후 자산과 월 현금흐름을 알 수 있습니다.
현재 자산이 하나도 없더라도 월 100만원씩(1,200만원/년)을 저축하고 8% 정도의 수익을 거둘 수 있다면 은퇴 후 자산은 18억 원이 됩니다. 또한 원금 18억 원의 가치를 훼손하지 않고 현재 가치 기준으로 매월 315만 원을 지출할 수 있습니다.
(단, 저축금액도 인플레이션에 맞게 증가돼야 합니다. 매달 100만 원, 다음 해 103만 원, 다다음 해 106만 원....)
흠... 하지만 315만 원은 너무 적은걸? 나는 노후에 현재가치로 매달 1,000만 원씩은 쓰고 싶은데? 물론 그것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소수점은 입력이 안되고 있는데 수익률을 8%에서 11.5% 정도로 올릴 수 있다면 매달 1,000만원 플렉스 가능합니다.
이게 어떻게 가능하지 라는 생각이 드실 텐데요, 예상하시다시피 복리의 마법 때문입니다. 뒤로 갈수록 돈이 눈덩이 불어나듯 빨리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기간이 충분히 길지 않다면 복리의 효과를 누리기 어렵습니다. 지금 40대나 50대 이시라면 은퇴까지 10~20년밖에 남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축적하신 자산이 있을 수 있고 무리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복리수익을 끌어올리는 방법도 있습니다. 찾아보면 방법은 있습니다.
결론
그러면 무엇부터 시작해야 할까요?
그래 투자를 해야겠다!라고 마음먹으셨다면 축하드립니다. 경제적 자유를 위한 첫걸음을 떼셨군요. 단기간에 큰 수익을 얻어야지라는 생각만 안 하신다면 실패하실 확률은 많이 낮아질 겁니다. 지금은 투자 실력이 없기 때문에 패시브 투자로 시작을 하고 공부가 되고 마음의 준비가 되면 액티브 투자 비중을 서서히 늘려가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투자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주식 장기투자, 적립식 투자는 매우 위험합니다. (0) | 2021.11.22 |
---|---|
주식 초보도 연 15%이상 벌 수 있는 주식 투자 방법 (0) | 2021.11.19 |
나에게 맞는 주식 투자방법 2편 - 한달에 1번 거래 연 복리 10~15% (0) | 2021.11.16 |
나에게 맞는 주식 투자방법 1편 - 아무것도 안하고 연 복리 8~9% (0) | 2021.11.15 |
주식으로 복리 15% 이상 버는 가장 중요한 원칙 단 한가지 (0) | 2021.11.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