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전략

S&P500과 나스닥에서의 핼러윈 전략

by investor2020 2022. 1. 13.

썸네일

이전 포스팅에서 11월부터 4월까지 6개월만 투자하는 핼러윈 전략이 전 세계적으로 잘 통하고 코스피와 코스닥에서도 잘 통한다는 것을 알려드렸습니다. 그렇다면 미국 주식은 어땠을까요? 예상한 대로 S&P500과 나스닥에서도 역시 잘 통했습니다.

 

 

목차
1. S&P500 투자 결과

2. S&P500 수익 및 MDD 그래프
3. S&P500 승률 및 손익비
4. 나스닥 투자 결과
5. 나스닥 수익 및 MDD 그래프
6. 나스닥 승률 및 손익비
7. 요약

 

미국 주식 핼러윈 투자

역시 엑셀 데이터로 백테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주식 투자를 하지 않는 시기에는 예금 금리로 수익을 계산하였습니다. 미국 기준 금리 데이터를 1950년부터 구할 수 있어서 백테스트 구간은 1950년부터 2021년으로 진행하였습니다.

 

S&P500

1. 투자 결과(1950~2021)

 연도  분류 1년(%) 11~4월(%) 5~10월(%)
1950~1980 CAGR 7.00 8.85 2.78
MDD -46.18 -24.48 -29.64
월 변동성 9.21 5.09 5.34
연 변동성 31.91 17.64 18.50
1981~2000 CAGR 12.05 12.28 6.33
MDD -30.17 -11.39 -23.65
월 변동성 6.30 2.38 5.79
연 변동성 21.82 8.26 20.05
2001~2021 CAGR 6.30 6.31 1.97
MDD -52.56 -31.43 -35.74
변동성 4.30 3.04 3.06
연 변동성 14.91 10.53 10.59
1950~2021 CAGR 8.17 9.04 3.51
MDD -52.56 -31.43 -37.55
월 변동성 4.16 2.84 3.04
  연 변동성 14.40 9.84 10.53

S&P500 역시 1년 투자 전략보다 11~4월 전략이 더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MDD도 -52.56% vs -31.43%으로 큰 감소를 보였습니다. 하지만 코스피와 달리 5~10월 전략의 MDD가 크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수익은 연 3.51%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습니다.

 

코로나 이후(2020~2021)

분류 1년 투자(%) 11~4월(%) 5~10월(%)
CAGR 21.46 9.36 11.53
2년간 수익률 47.52 19.59 24.39
MDD -20.00 -20.00 -6.58
월 변동성 5.52 4.90 2.85
연 변동성 19.12 16.98 9.86

코로나 이후 수익은 코스피와 달리 5~10월 보다 11~4월의 수익이 제일 낮았습니다. 

 

2. 수익금 및 MDD 그래프

1950년부터-2021년까지-SP500-전략별-수익-금액-비교-그래프-12개월-투자-vs-11~4월-vs-5~10월
SNP500 누적 수익금 비교(1950~2021년)

 

1950년부터-2021년까지-SP500-투자시-전략별-수익-금액-비교-로그-스케일-그래프-12개월-투자-vs-11~4월-vs-5~10월
SNP500 누적 수익금 비교(1950~2021년) 로그 스케일

 

1950년부터-2021년까지의-SP500-투자시-MDD-그래프-12개월-투자-vs-11~4월-vs-5~10월
SNP500 최대 손실(MDD) 그래프(1950~2021년)

1950~2021년 백테스트 결과 1년 보유 전략은 원금이 286배, 11~4월 전략은 506배, 5~10월 전략은 12배가 되었습니다. S&P500은 2008년 금융위기 때 -52.56%의 MDD를 기록하였습니다.

 

3. 승률 및 손익비

분류 1년 투자(%) 11~4월(%) 5~10월(%)
승률 73.61 83.33 77.78
1년 평균 수익률 9.49 9.55 3.96
수익시 평균 17.21 12.70 7.77
손실시 평균 -12.03 -6.25 -9.37
손익비 1.43 2.03 0.83

S&P500은 코스피나 코스닥과 달리 승률이 매우 높았습니다. 평균 수익률은 코스피보다 3~4% p 낮은 9%대를 기록했습니다.  5~10월도 승률은 70% 이상으로 높았지만 역시나 손익비가 1 이하로 낮았습니다.

 

나스닥

1. 투자 결과(1950~2021)

 연도  분류 1년(%) 11~4월(%) 5~10월(%)
1950~1980 CAGR 9.74 10.52 3.82
MDD -58.34 -37.18% -35.90%
월 변동성 12.88 7.82 7.40
연 변동성 44.61 27.09 25.63
1981~2000 CAGR 13.33 15.06 4.94
MDD -30.17 -11.39 -23.65
월 변동성 8.99 5.31 10.04
연 변동성 31.13 18.41 34.77
2001~2021 CAGR 9.19 6.59 4.45
MDD -52.56 -31.43 -35.74
변동성 5.77 4.13 4.07
연 변동성 19.99 14.30 14.09
1950~2021 CAGR 10.56 10.59 4.32
MDD -75.04 -53.76 -54.10
월 변동성 5.38 3.80 3.83
연 변동성 18.65 13.17 13.26

나스닥에서도 역시 1년 투자 전략보다 11~4월 전략이 더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나스닥의 MDD는 S&P500보다 더 컸습니다. 11~4월 전략이 1년 보유 전략보다 MDD가 더 낮긴 했지만 -53.76%를 기록했습니다. S&P500보다 변동성이 더 큰 만큼 수익은 더 높았습니다.

 

코로나 이후(2020~2021)

분류 1년 투자(%) 11~4월(%) 5~10월(%)
CAGR 32.05 13.27 17.07
2년간 수익률 74.36 28.30 37.04
MDD -15.85 -15.85 -8.64
월 변동성 5.85 4.84 3.75
연 변동성 20.27 16.78 13.00

애플, 구글 등의 기술주가 코로나가 영향을 덜 받아서인지 제 예상과 달리 S&P500보다 MDD더 낮았습니다. 수익은 당연히 더 좋았습니다.

 

2. 수익금 및 MDD 그래프

1950년부터-2021년까지-나스닥-전략별-수익-금액-비교-그래프-12개월-투자-vs-11~4월-vs-5~10월
나스닥 누적 수익금 비교(1950~2021년)

 

1950년부터-2021년까지-나스닥-전략별-수익-금액-비교-로그-스케일-그래프-12개월-투자-vs-11~4월-vs-5~10월
나스닥 누적 수익금 비교(1950~2021년) 로그 스케일

 

1950년부터-2021년까지의-나스닥-MDD-그래프-12개월-투자-vs-11~4월-vs-5~10월
나스닥 최대 손실(MDD) 그래프(1950~2021년)

 

1950~2021년 백테스트 결과 1년 보유 전략은 원금이 1380배, 11~4월 전략은 1404배, 5~10월 전략은 20배가 되었습니다. 나스닥은 닷컴 버블 때인 2000년부터 2002년 9월까지 하락하여 -75.04%의 MDD를 기록하였습니다.  금융위기인 2008년에도 -70.66%을 기록하여 MDD에 매우 근접한 큰 하락폭을 보였습니다.

 

3. 승률 및 손익비

분류 1년 투자(%) 11~4월(%) 5~10월(%)
승률 73.61 79.17 73.61 
1년 평균 수익률 12.99 11.76 5.11
수익시 평균 23.11 17.21 10.60
손실시 평균 -15.25 -8.96 -10.21
손익비 1.52 1.92 1.04

S&P500과 마찬가지로 승률은 매우 높았습니다. 1년 평균 수익은 나스닥이 S&P500보다 더 높았습니다. 손익비는 역시 11~4월이 제일 높고 5~10월이 제일 낮았습니다.

 

요약

  • 미국 주식도 11~4월 전략(핼러윈 전략)이 매우 잘 통합니다.
  • 20~30년 단위로 나누어서 보더라도 모든 구간에서 잘 통했습니다.
  • 나스닥은 핼러윈 전략을 쓰더라도 -50% 이상의 MDD를 기록했습니다.
  • 코로나 이후 2년간은 1년 Buy & Hold 전략이 더 좋았습니다.

 

reference)

https://youtu.be/wcBYT6HUSaM

The Halloween Indicator, “Sell in May and Go Away”: Everywhere and All the Time

댓글